DB 히트율
Buffer Cache hit Ratio는 아래 쿼리로 조회 가능.
히트율은 90% 이상 권장
SELECT name, round(((1 - (physical_reads / (consistent_gets + db_block_gets))) * 100), 2) || '% (90%이상 권장)' "hit Ratio" FROM V$BUFFER_POOL_STATISTICS WHERE (consistent_gets + db_block_gets) != 0;
'DB > 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라클 PARALLEL 힌트 (0) | 2016.06.04 |
---|---|
index fast full scan (0) | 2016.06.04 |
탭 문자 제거 (0) | 2016.06.04 |
오라클 세션 Kill (0) | 2016.06.04 |
SQL 튜닝 가이드 (0) | 2016.06.04 |
무료 부하테스트 JMETER
상용 부하테스트로 로드러너가 있지만 비싸기 때문에 무료 부하테스트를 사용하게 되었다.
무료 부하테스트로는 jmeter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조회 화면이 선택이 될 것이고, 선택된 조회화면은 정말 단순한 화면이 아닌 경우 파라미터를 사용할 것이다.
.부하테스트 대상의 페이지의 파라미터를 얻기 위해 badboy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배드보이와 연결을 위해 배드보이를 수행 후에 부하테스트를 원하는 페이지로 이동한다.
부하테스트 페이지를 수행한 후 아래와 같이 Jmeter 스크립트로 저장한다.
Jmeter를 실행하여 스크립트를 오픈한다.
쓰레드 그룹명 및 부하테스트를 몇 개의 쓰레드로 수행할지를 입력한다.
View Results in Table에서는 각 쓰레드별로 실행한 요청 목록과 세부 수행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Status는 요청이 오류없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면 녹색표시가 나타난다.
Summary Report에서는 총 요청에 대한 평균 응답 시간, 최소 응답 시간, 최대 응답 시간, 에러율을 확인할 수있다.
단위는 밀리세컨드이다.
View Results Tree에서는 http요청에 대한 응답값을 확인할 수있다.
자바 Class 타입 정렬 방법
이름, 아이디, 이메일 등의 정보가 들어 있는 구조체로 되어 있는 Class 같은 경우를 정렬하기 위해서는 Collection.sort()메소드와 Comparator를 사용하면 쉽게 정렬할 수있다.
package com.test; import java.text.Collato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Collections; import java.util.Comparator; import java.util.List;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tem item1 = null; Item item2 = null; Item item3 = null; Item item4 = null; List- list = new ArrayList
- (); item1 = new Item(); item1.setId("id123"); item1.setName("홍길동"); item1.setEmail("aaa@aaa.com"); list.add(item1); item2 = new Item(); item2.setId("id345"); item2.setName("장금이"); item2.setEmail("ssa@ba.com"); list.add(item2); item3 = new Item(); item3.setId("id678"); item3.setName("홍순이"); item3.setEmail("dwd@1234.com"); list.add(item3); item4 = new Item(); item4.setId("id143"); item4.setName("똘똘이"); item4.setEmail("a1@uuu.com"); list.add(item4); final Comparator
- comparator = new Comparator
- (){ @Override public int compare(Item o1, Item o2) { return Collator.getInstance().compare(o1.getId(), o2.getId()); } }; Collections.sort(list, comparator); Item item = null; for (int i = 0; i < list.size(); i++) { item = list.get(i); System.out.println(item.getId()+" - "+item.getName()+" - "+item.getEmail()+" - "); } } }
--------------------------------------------------------------------------------------------
id로 정렬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메일, 이름으로 정렬을 하기 위해서는
return Collator.getInstance().compare(o1.getId(), o2.getId());
이 부분을 mail, name으로 변경하면 원하는 컬럼으로 정렬을 할 수 있다.
역 정렬을 하기 위해서는 Collections.sort 대신에 Collections.reverse를 사용한다.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GCViewer 설정 (0) | 2016.06.04 |
---|---|
Jdk 1.4 다운로드 (0) | 2016.06.04 |
No buffer space available (maximum connections reached?): JVM_Bind (0) | 2016.06.04 |
자바 GC 분석 (0) | 2016.06.04 |
자바 하위버전 다운로드 방법 (0) | 2016.06.04 |